본문 바로가기

세포막2

생리학에 관하여 - 세포막의 구조와 막결합 1. 세포막의 구조 1970년대 처음으로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막의 막 단백질과 지질의 3차원적 배열을 볼 수 있게 되었으며, 싱어와 니콜슨은 이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막의 '유동 모자이크 모델'을 제시하였다. 유동 모자이크 모델에 의하면 세포막은 인지질이 이중으로 판판하게 배열된 구조로서 비극성 꼬리가 두 극성 머리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지질 이중층에 다양한 단백질이 모자이크처럼 결합되어 있는 유동성을 가진 구조이다.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의 극성 머리 부위는 세포외액과 세포질에 있는 극성 물 분자와 상호 반응한다.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은 일부 또는 전체가 막을 통과하고 있다. 지질 용해성 물질은 지질 이중막층을 잘 통과하지만 수용성 물질은 막단백질을 통해 세포막을 통과한다.1-1. 지질 .. 2025. 3. 18.
생리학에 관하여 - 세포의 소기관1 1. 세포막 인체의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생체막은 세포막 혹은 원형질막이라 하며 세포막은 세포 내 구조를 외부로부터 분리하여 내부 환경을 보호하고 있다. 세포막은 인지질로 만들어진 이중의 생체막으로 되어 있으며 지질층 사이에는 단백질이 내재하거나 외재한다. 또한 세포막의 외표면에서만 볼 수 있는 올리고당은 세포막 단백질이나 지질층에 결합되어 있다. 생체막은 단순히 외부 환경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 구조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물질의 이동과 인식, 상해 후의 보수 등 많은 기능을 하는 세포의 살아있는 소기관이다. 세포막의 조성 물질 중 주로 단백질과 올리고당들이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며 단백질은 특히 효소로 작용하여 화학반응을 수행한다. 세포막은 물질의 이동에 관여한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이 가능하도록.. 2025.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