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리학15

생리학에 관하여 - 골격근1 사람의 몸에는 모양이 다른 400여 가지의 근육이 존재하나 형태학적인 구조나 수축기전, 조절체계 등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대부분 뼈에 붙어 수의운동을 돕거나 몸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골격근 혹은 횡문근이며 다른 하나는 주로 내장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불수의적으로 조절되는 평활근이다. 세 번째는 구조상 골격근과 비슷하나 수의적으로 조절되지 않는 심근이다. 1. 구조와 운동단위 골격근은 대부분 양 끝이 뼈에 부착되어 운동을 조절하는 근육으로 형태에 따라 방추상근, 평행근, 삼각근, 깃털근, 환상근 등으로 분류되며 기능에 따라 굴근, 신근, 내외전근, 회전근, 괄약근, 거근 등으로 구분한다. 여러 근육들이 하나의 운동을 주관할 때 그 운동의 주도가 되는 근육을 주동근, 같은 방향.. 2025. 3. 30.
생리학에 관하여 - 시냅스 두 뉴런 간의 연접 부위를 시냅스라고 하며 시냅스전 뉴런의 일부와 시냅스후 뉴런의 일부, 그리고 두 세포 간의 세포 외 공간으로 구성된다. 시냅스전 뉴런의 전기적 흥분이 시냅스를 거쳐 시냅스후 뉴런으로 전달되어 전기적 또는 대사적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시냅스의 흥분전달은 전기시냅스(electrical synapse) 또는 화학시냅스(chemical synapse)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기시냅스는 세포와 세포 사이가 직접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이 통로를 이용하여 이온이나 다른 작은 분자를 직접 전달한다. 반면, 화학시냅스는 세포 사이에 이온의 직접적인 전달을 차단하는 시냅스 틈새(synaptic cleft)가 존재하므로, 세포 간에 이온이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냅스전 뉴런으로부터 신경전달 물질이.. 2025. 3. 26.
생리학에 관하여 - 막전위 세포막을 경계로 한 이온의 이동은 이온채널을 통해 전하 차이나 이온의 농도 차이에 의하여 유발된다. 세포막을 중심으로 안과 밖의 이런 이온농도의 차이를 농도경사라고 하며, 그 결과 나타나는 전기적 전하의 불균형을 막전위라고 한다. 1. 신경세포막의 이온채널뉴런의 축삭 막은 다른 세포막과 같이 인지질 이중막으로 되어 있으며, 막의 이온채널을 통해 이온의 이동을 조절한다. 모든 신경세포의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수동적 이온채널은 소디움 이온 채널, 포타슘 이온 채널, 염소 이온 채널, 칼슘 이온 채널 등이 있다. 화학 활성화 이온채널은 주로 수상돌기와 세포체에 존재하는 이온채널로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화학전달물질이 수용기에 결합하면 화학적으로 활성화되어 문이 열리고 이온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압 활성화 .. 2025. 3. 26.
생리학에 관하여 - 신경계를 구성하는 세포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뉴런과 신경교세포이다. 뉴런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받은 자극을 다른 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교세포는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뉴런을 보호하고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1. 뉴런뉴런은 주어지는 모든 자극을 전기 신호화하여 신경세포의 한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으로 전달할 뿐 아니라, 세포 밖으로 화학전달물질들을 방출하여 다른 세포에도 자극을 전달한다. 뉴런의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나 모두 세포 간 정보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뉴런은 세포체와 수상돌기, 축삭, 축삭종말로 구성되어 있다.1-1. 뉴런의 구조 1️⃣ 신경세포체 신경세포체는 뉴런의 성장과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부분으로서 유전정보와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장치가 있어.. 2025. 3. 23.
생리학에 관하여 -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2 1. 능동수송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은 수동수송에만 의존하지 않고, 전기화학적 경사에 역행하여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용질을 이동시키는 능동수송을 통해 세포 안의 이온 구성 또는 영양물질 농도를 일정한 범위로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백질, 포도당, 아미노산과 같이 지질에 잘 용해되지 않으면서 분자량이 큰 분자들은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특수한 수송체를 통해 세포막을 통과하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저농도 쪽에서 고농도 쪽으로 수송이 일어난다. 능동수송은 1차 능동수송(직접 능동수송)과 2차 능동수송(간접 능동수송)으로 분류된다. 수송에 필요한 에너지를 ATP 가수분해로부터 직접 얻어 농도경사에 역행하여 수송하는 방식을 1차 능동수송이라 하며, 다른 분자의 농도경사에 저장되.. 2025. 3. 23.
생리학에 관하여 -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1 1. 수동수송 수동수송이란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운반이 농도차, 전위차, 압력 차에 의해 내리막 방향으로 일어나는 물질이동 방법이다. 그 예로는 확산, 삼투, 여과 등이 있다.1-1. 확산(단순확산) 액체나 기체 상태의 분자들은 끊임없이 열운동을 하므로 일정한 공간 안에서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수용액의 일부 부위에서 용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 용질 분자들은 무작위적 열운동에 의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므로 전체 수용액의 농도가 균일해진다. 이러한 현상을 확산 또는 단순확산이라 한다. 인접한 두 구획에서 농도가 서로 다른 것을 농도경사 또는 화학적 경사라 한다. 용질의 농도 차이가 있는 두 구획 사이의 막이 용질에 투과성이 있을 때, 용질의 농도가 높은 구획으로부터 낮은 구획으로 용질이.. 2025. 3. 20.